photo-1750969315593-36b04578208c.jpg- Smart
Structural
Material
Laboratory
  • 홈
  • 포트폴리오
  • 소개
    • 프로필
    • 수상경력
    • 활동이력
  • 문의
On-going projects

1.png
탄소 고분자 부식 ZERO 철근 대체재 기술 개발

지원기관 - 국토교통부 (2021.04.01~2025.12.31)
수행기관 - 단국대학교(주관)
연구내용
- 수정압축장이론(MCFT)를 활용 탄소보강근-콘크리트 구조부재 
 전단강도 평가 해석
- 겹침이음된 탄소보강근-콘크리트 보의 휨/부착실험을 통한 부착강도       및 유효강성 모델 개발
- ​탄소보강근-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장기거동 특성 평가 및 설계식 제안
- 진동대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(FEM)을 통한 전단벽체의 내진 성능 평가
- ​탄소보강근-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계 거동 예측 및 파괴성상 분석을 
 반영한 통합 설계·평가 플랫폼 구축
- ​CFRP 구조물의 통합설계 플랫폼 개발
​​​​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디지털기반 도로구조물 설계-제작-시공 지원기술
KakaoTalk_20250820_174432643(0001).png
   개발
 
     지원기관 - 국토교통부 (2020.03.01~2025.12.31)
     수행기관 - 단국대학교(주관)
     연구내용
     - 기존 설계기준의 프리팹 적용 설계 저해요소 발굴(겹침이음, 횡방향 
       철근배치 채움재 등)
     - 채움재료 수축 특성 분석 및 평가를 통한 다양한 연결부 형태별 최적 
       채움재료 도출
     - 콘크리트 프리팹 구조 바닥판 연결부의 구조 안전성 평가
     - UHPC를 적용한 프리팹 부재 연결부의 성능개선을 위한 이음 성능 
       평가 및 부착강도 산정식 제안
     - 콘크리트 프리팹 구조 및 연결부에 대한 성능검증 표준절차 및 지침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개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    Cabon net-zero 바이오 융합기반 지속가능  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O2N-crete 개발
 그림03.png
        지원기관 - 한국연구재단 (2024.07.01~2028.12.3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수행기관 - 단국대학교(주관)/ TCRK,건국대학교,중앙대학교,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경기대학교, 성균관대학교, 환경미생물은행 (공동)
     연구내용
     - 바이오차 소재 활용을 위한 건설 소재로서 바이오차 연구 현황 자료
       수집
     - 축분계 바이오차 기초 특성 평가 및 최적합 바이오차 선정 기존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SCM 대비 포졸란 반응성 비교 분석
     - 축분 바이오차 활용 강도별 바이오 무시멘트 콘크리트 배합 개발
     - 탄소 포집 박테리아 적용 바이오 무시멘트 콘크리트 개발 및 파일럿
       규모 실증 테스트
     - 건설 전 주기 지속가능한 CO2 저감 혁신 원천기술 개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                            - 박테리아 적용 및 파일럿 규모 실증 테스트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도심지 폐기물 재활용 3D 콘크리트 프린팅 적용
KakaoTalk_20250826_1308423171.png     기술개발
​
      지원기관 - 한국연구재단 (2023.06.01~2028.02.28)
     수행기관 - 단국대학교(주관)
     연구내용
     - 레올로지 활용 도심지 폐기물 혼입 3D 프린팅용 콘크리트 기초 물성 
       분석
     - 도심지 폐기물 활용 콘크리트의 혼입율에 따른 재료 특성 분석
     - 콘크리트 재료 특성을 반영한 CFD 유동해석을 통한 압송 및 적층 예측
     - 천연섬유를 활용한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부착 및 적층 성능 강화
     - 폐기물 재료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3D 프린팅 구현
     - 환경 평가를 통한 친환경성 검증
​​​​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순환-지속가능한 지반재료 및 시스템 디자인 
KakaoTalk_20250930_175431615.png      연구실
​
      지원기관 - 한국연구재단 (2023.06.01~2026.02.28)
      수행기관 - 단국대학교(주관)
      연구내용
      - 건설 폐기물 활용현황 조사 순환 골재 및 미분말 기초물성 평가 대량 
        활용을 위한 용도 발굴
      - 순환 미분말의 SCM대체를 위한 포졸란 및 수화 반응성 평가 
        물리/화학적 특성 평가
      - 순환골재 및 재생 미분말 활용 2차 제품 물성 평가 2차 제품용 최적
        배합설계(안) 도출
      - 건설 폐기물 안정적 품질확보 방안 도출 2차 제품 생산성 향상방안 
        도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건설분야 탄소중립 실현 건설폐기물 Upcycle 신재료 개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건설 폐기물 Upcycle 활용 방안 제시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인공지능 플러스 K건설인프라 레질리언스 
그림06.png      연구센터
​
       지원기관 - 한국연구재단 (2025.06.01~2032.05.31)
      수행기관 - 성균관대학교(주관), 단국대학교(공동)
      연구내용
      - 유지관리/의사결정 자동화 기술 및 구체적인 보수/보강 전략 제시 기술
      - 멀티모달 센싱 기반의 구조건전성 평가기술을 통한 스마트 시티 
        인프라 안전 관리기술로 확장
      - 나노기반 다기능 복합체 기술을 통한 지능형 다기능 구조물 유지관리 
        시스템
      - 실시간 지능형 대응 재료 기술을 통한 능동형 인프라 재난 대응 시스템 
      - 첨단 모빌리티 융합 기술을 통한 스마트 도시 재난 대응 통합 플랫폼               연계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건설현장.재난현장의 AI Agents 기술을 통한 응급 구조체계와의 연계